검은 호랑이의 해 임인년 2022년은 대한민국 미래에 중요한 해가 되고 있다. 지구촌을 전대미문의 대혼란에 빠뜨린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 2년 만에 조만간 풍토병처럼 철마다 유행하는 엔데믹으로 변하게 될 것이라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오면서 세계 경제는 경제 회복의 긍정적 전망과 인플레이션 및 양적긴축에 따른 부정적 전망이 혼재하고 있다. 코로나19 팬데믹과 미·중 갈등에 따른 탈중국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대외의존도가 큰 우리 경제로서는 절호의 기회와 절체절명의 위협이 상존하고 있다. 북한 핵 문제에 따른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는 미국과 중국이 대치하는 대만 문제, 미국과 러시아가 대치하는 우크라이나 문제와 더불어 일촉즉발의 지정학적 위기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.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중립 정책은 새로운 세계적 환경 및 무역 규범으로 제조업 비중이 큰 한국 경제와 기업에 험난한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. 여기에 광속의 기술 변화, MZ 세대 부상 등 세대의 변화, 자본주의 변화, ESG(환경·사회·지배구조) 등 경영 기조의 변화 등 모든 면이 동시에 급변하는 초변화 대전환 시대는 대한민국의 흥망성쇠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인 것이다.

주영섭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·전 중소기업청장

기사 전문은 아래 ‘기사보기’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기사보기